<p></p><br /><br />관련된 이야기, 정치부 조아라 기자와 이어 갑니다. <br><br>1.베트남으로는 확정은 됐지만 구체적인 장소는 1차 회담 때와는 달리 발표하지 않았습니다. 못 정한 겁니까, 아직 숨기는 겁니까? <br><br>북미 간 이견으로 아직 못 정했을 가능성이 큽니다. <br><br>현재 수도이자 각국 대사관이 몰려 있는 하노이. 그리고 해변을 끼고 있어 경호가 유리한 다낭이 경합 중입니다. <br><br>미 CNN은 북한은 대사관이 있는 하노이를, 미국은 2017년 APEC 유치경험도 있는 다낭을 선호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.<br> <br>김정은 위원장 국빈 방문을 추진 중인 북한으로선 수도 하노이는 반드시 들러야 하는 곳입니다. <br> <br>여기서 다낭으로 한번 더 이동하는데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여기다 역사적으로도 하노이는 월맹, 다낭은 월남인 만큼 베트남 전쟁 승전의 상징성까지 더해 하노이를 고집하고 있단 분석입니다. <br> <br>일단 북한은 막판까지 회담 장소를 미국과의 협상 카드로 활용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><br>2. 1차 정상회담과 달라진 건 역시 1박 2일로 길어진 회담 날짜로 보입니다. 이번에는 어떻게든 담판을 짓겠다는 뜻입니까? <br> <br>지난해 싱가포르 1차 회담 때는 6월 12일 단 하루 동안 두 정상은 5시간 남짓 함께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번엔 처음부터 1박 2일로 못 박았습니다. <br><br>결정권을 가진 두 정상이 마라톤 끝장 협상을 해서라도 비핵화와 제재완화에 대한 구체적 성과를 내겠다는 의지로 해석됩니다.<br> <br>또, 오찬과 만찬, 해변 산책 같은 두 정상 간 친밀도를 과시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단 기대도 나옵니다. <br><br>2-1. 여기서 '+α '는 뭡니까? <br><br>바로 북한과 미국 여기에 한국과 중국이 함께하는 4자 종전선언입니다. <br> <br>북한에 줄 수 있는 경제 보상이 제한되는 만큼 종전선언이 당근이 될 수 있단 겁니다.<br> <br>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의회 연설에 앞서 이달 말에 시진핑 주석과 만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. 때문에 베트남에서 시진핑 주석과 만나 종전선언을 하고 무역전쟁 담판도 지을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다만 청와대는 오늘 문 대통령의 베트남행에 대해 "가능성은 높지 않다"면서도 모든 걸 열어 놓고 준비는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3. 북미 회담이 3주 앞으로 다가오면서 이제 전 세계 관심이 베트남으로 쏠릴 텐데 본의 아니게 불똥이 튄 곳인 있다고요? <br><br>네, 바로 자유한국당입니다. <br> <br>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와 북미정상회담 날짜가 겹친 겁니다. <br> <br>지난 1차 북미정상회담도 지방선거 하루 전에 열려 모든 이슈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였는데 이번에도 악몽이 재연될까 우려하는 겁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 발표 직후 홍준표 전 대표는 한 달 뒤로 전당대회를 미루자고 주장했고 내일 출마 선언을 앞둔 오세훈 전 서울시장 역시 전당대회 연기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. <br> <br>반면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당 방침을 따르겠단 입장입니다. <br> <br>한국당은 일정 조정 여부를 선관위와 논의할 계획입니다. <br><br>정치부 조아라 기자였습니다. <br>